자바스크립트를 지원하지 않습니다. 일부기능이 작동되지 않을수도 있습니다.


알림마당

소식 및 알림, 활동모습을 알려드립니다.

자유게시판

페이지 정보

작성일2018-10-27 21:15 작성자서귀자 | 대구교육본부  댓글 1건 조회 3,350회

답은 몇 번일까요.

본문

 수업 시간이나 공개 수업 때 제가 잘 쓰는 내용 중에 한가지입니다. 수업 중간 잠시 짜투리 시간에 재미있는 한자 퀴즈 문제를 잘 내는 편입니다.

  이번에는 다 함께 참여할 수 있고 어렵지 않은 고사성어를 올려봅니다. 수업 자료는 미리 만들어 준비해두었다가 평상시 수업에서는 다른 파트로 넘어갈 때나 학생들이 좀 어수선할 때 사용합니다.

  그리고 공개수업 때도 한 파트 끝나고 부모님과 학생들에게 잠시의 여유도 가지고 한자 상식과 지식을 한꺼번에 얻을 수 있어서 깜짝 퀴즈 형식으로 쓰는 방법인데 학부모님과 학생들의 반응이 좋아서 한 번 사용해보면 좋을 것 같아서 올려봅니다.

 

다음 중 馬耳東風과 뜻이 가장 비슷한 고사성어는?

竹馬故友 走馬看山 東問西答 牛耳讀經

 

[해설] 馬耳東風(마이동풍) : 남의 말을 귀담아 듣지 않고 곧 흘려버리다.

竹馬故友(죽마고우) : 죽마를 같이 타던 옛 벗. 즉 어릴 때의 친구

走馬看山(주마간산) : 천천히 살펴볼 여유없이 바쁘게 대강보고 지나가다.

東問西答(동문서답) : 질문과 관계없는 엉뚱한 대답을 하다.

牛耳讀經(우이독경) : 소 귀에 경 읽기. 즉 남의 말을 귀담아 듣지 않는다.

 

  평소에 배운 고사성어라 내용은 알고 있는 듯 한 데 막상 퀴즈 문제라니 알쏭달쏭 고민되는 모습들이 귀엽습니다.

쌀쌀한 날씨에 감기 조심하시고 건강하세요.

 

댓글목록

박진수님의 댓글

박진수 | 대구교육본부 작성일

정답은 4번~~^^
평소 열정적으로 수업준비 하시고 매번 나눠주시니 감사해요
수업 시간에 유용하게 잘 활용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