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바스크립트를 지원하지 않습니다. 일부기능이 작동되지 않을수도 있습니다.


알림마당

소식 및 알림, 활동모습을 알려드립니다.

자유게시판

페이지 정보

작성일2018-04-14 11:46 작성자조윤서 | 부산동남부,양산본부  댓글 1건 조회 4,539회

초등 필수 사자성어

본문

안녕하세요 전국에 한자속독 선생님들~

벚꽃이 피어 따뜻한 봄이 오나 했더니 아직 바람이 차더니 오늘은 비가 오네요~

바쁜 새학기는 잘 보내셨나요?

기존학생과 신규생이 많이 섞여있는 새학기에                

전학년을 아울러 수업하기에 사자성어가 으뜸인것 같습니다 

재밌는 유래를 이야기 하며 수업을 하다 보면 학생들이 가장 좋아하는 수업이 되곤 한답니다

아래는 초등학생이 알아야하는 필수 사자성어 10가지 랍니다.

이번달에 아래 사자성어도 수업하여 학생들과 함께  즐거운 수업되시기 바라겠습니다~

 

 

                  1. 마이동풍(馬耳東風) 

- 따뜻한 봄바람이 불면 사람들은 기뻐하는데 말의 귀는 봄바람이 불어도 전혀 느끼는 낌새가 없다는 뜻입니다. 남의 의견이나 충고의 말을 귀담아 듣지 아니하고 흘려버리는 태도를 말합니다. 

2. 맹모삼천(孟母三遷) 
- 맹자 어머니가 아들을 올바로 교육시키기 위해 세번이나 이사했다는 것입니다. 즉 자식을 위하는 숭고한 모정을 뜻합니다. 

3. 십시일반(十匙一飯) - 열 사람이 자기 밥그릇에서 한 숟가락씩 덜어 다른 사람을 위해 밥 한 그릇을 만든다는 뜻입니다. 여럿이 힘을 합하면 작은힘으로도 큰 도움을 줄 수 있다는 것입니다. 

4. 감언이설(甘言利說) - 달콤한 말과 이로운 이야기라는 뜻으로, 즉 상대방을 현혹시키기 위해서 꾸민 달콤한 말과 이득을 내세워 속이는 말입니다. 

5 언중유골(言中有骨) - 말 가운데 뼈가 들어 있음을 나타냅니다. 즉 부드러운 말 속에 분명하고도 핵심적인 뜻이 담겨 있는 것을 말합니다. 

6. 아전인수(我田引水) - 제 논에 물대기, 가뭄이 들어 모든 논에 물이 없을 때 물길을 자기 논으로 내 모든 물을 가져 간다면 어떻게 될까요? 즉 자기 이익만 생각하는 것을 나타낼 때 쓰는 표현입니다. 

7. 역지사지(易地思之) - 처지를 바꾸어 생각해 봄, 위의 아전인수와는 대립되는 의미로 쓰입니다. 다른 사람의 입장에서 헤아리고 생각함을 나타냅니다. 

8. 어부지리(漁夫之利) - 두 사람이 맞붙어 싸우는 바람에 엉뚱한 제3자가 덕을 본다는 뜻입니다. 

9. 설상가상(雪上加霜) - 눈 위에 서리가 덮인 격이라는 뜻으로, 어려운 일이 연거푸 일어남을 비유한 한자 성어입니다. 

                   10. 대동소이(大同小異) - 크게 같고 작게 다른다는 말로, 크게 보면 서로 같지만 작게 보면 각각 다르다는              뜻입니다. 

댓글목록

홍금숙님의 댓글

홍금숙 | 부산서부교육본부(강서구,사하구,서구,영도구) 작성일

감사합니다! 기본교재와 고사성어를 통하여 즐거운 수업이 될수 있도록 해 봅니다